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원산지 : 미국 미시시피강 유역(북아메리카 지역포함)
길이 : 암컷 30cm, 수컷 20cm까지 성장
특징 : 양쪽 눈 옆부터 머리까지 붉은 무늬가 있고, 등껍질은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의 타원형
수컷은 암컷보다 길게 자라는 발톱을 가지며, 발톱 끝에 노란 반점이 나타남. 등껍질은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의 타원형으로 그 안에 육각형 또는 오각형의 각질비늘 14개 정도가 채우고 있음(4개의 추갑판*과 추갑판을 중심으로 양쪽에 5개의 늑갑판** 존재)
국외 관리 현황 :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지정 100대 악성 침입외래생물, 뉴질랜드, 러시아, 유럽 등에서 생태계교란 생물(IAS) 지정, EU무역규제(1997)에 의한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수입 금지
문제점 : 잡십성의 성장이 빠른 거북으로 토착종 거북류의 경쟁 뿐 아니라 생존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 원산지 및 국내 도입 경과 |
970년대 후반 처음 국내에들어왔고, 생태계교란 생물은 2001년 지정되었다. 북미에서는 1957년 상업적 양식이 시작되었고, 1960년대 이후 러시아를 포함한 유럽, 아시아 등으로 확산하였다. 국내에 들어온 붉은귀거북속 거북류 1종 3아종으로 붉은귀거북; T. scripta elegans, 노란배거북; T. scripta scripta, 쿰버랜드; T. scripta troostii 로 알려져있다.
| 유사종과의 구별 방법 |
• 국내 서식하는 자라와 남생이 2종의 거북류는 각진 모양의 비늘이 없으며, 등딱지가 딱딱하지 않아 붉은귀거북속류와 구분된다. 남생이의 경우 진한갈색의 등갑과 가장자리에 확생 줄무늬가 있는 갑판을 가지고 있으며, 배갑은 흑색 또는 흑갈색이며, 등에 3개의 융기선이 특징적이어서 구별을 확실히 할 수 있다.
| 생태 특성 |
• 붉은귀거북속류는 야생에서 수명은 약 20년, 인간에 의해 사육되어졌을 때는 약 40년까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적으로 성숙하는 기간은 약 3~4년 정도 기간을 거쳐 성숙체가 되고, 암컷은 적당한 알자리를 찾아 최대 1.6㎞까지 번식기에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좋아하는 서식처는 물 흐름이 느린 큰 강이나 호수, 저수지와 같은 곳을 좋아하며 몸을 피할 수 있는 수초가 많은 것을 좋아한다. 먹이로는 부착류, 갑각류, 곤충류 등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먹으며, 어렸을 때는 육식을 좋아하고 성장할수록 초식을 선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 국내 분포와 확산 |
• 제주도를 포함한 국내의 전국 하천과 호수, 저수지 등에 폭넓게 서식하며, 국내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으며, 활발한 번식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다. 지자체와 (유역)환경청에서 개별적인 퇴치사업을 벌이고 있음
| 생태계 영향 및 주요 피해사례 |
• 붉은귀거북은 성장이 빠르고, 식욕이 왕성한 잡식성 거북으로 국내 토착종 거북류와 서식지 및 먹이, 휴식지, 산란장 등에 대한 경쟁으로 국내종의 서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II급이며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된 남생이의 서식지에서 경쟁으로 남생이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협하고 있다. 수명이 길고, 성체의 붉은귀거북를 먹이원으로 하는 천적이 없어 자연적인 개체수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 관리 방법 |
• 붉은귀거북은 날씨에 민감하기 때문에 서식실태 조사는 맑은 날 조사하고, 이 자료결과를 바탕으로 관리 중점지역을 선정한다. 개체수가 많거나 남생이와 같은 우리나라 주요 토착종이 서식하는 곳을 중점 관리지역으로 선정하고, 산란장(서식지 주변, 나지, 제방)을 조사하고, 산란된 알을 제거한다.
• 붉은귀거북속류는 수중 또는 수변부에 위로 돌출되어 있는 바위, 나뭇가지 또는 인공구조물, 수변부 등에서 일광욕을 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포획한다. 포획은 전용 장치, 뜰채 또는 그물을 이용해서 할 수 있으며 산란을 위해 육지로 이동할 때 포획할 수도 있다. 시기별로는 3~4월에는 수변부, 제방, 돌무더기, 진흙바닥 등에서 동면개체, 동면에서 깨어난 것들을 확인하고, 5~6월에는 얕은 수변부 수초들 사이에 어린 개체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주의사항 |
• 붉은귀거북이 사는 곳은 하천이나 저수지이기 때문에 퇴치작업을 할 때 물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포획한 붉은귀거북은 이빨로 물거나 발톱이 날카로워 상처를 입힐 수 있으므로 장화나 장갑과 같은 보호장구를 꼭 착용하여야 한다. 특히 살모넬라균을 가지고 있어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직접 피부에 닿는 경우는 자제해야한다.
'생태계교란 생물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교란 생물종 - 중국줄무늬목거북 ( Mauremys sinensis ) (1) | 2023.01.16 |
---|---|
생태계교란 생물종 - 플로리다붉은배거북( Pseudemys nelsoni ) (0) | 2023.01.15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리버쿠터 (Pseudemys concinna) (0) | 2023.01.14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뉴트리아(Myocastor coypus) (0) | 2023.01.12 |
생태계교란 생물은 외래종이란 다른 것 !!! (0)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