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줄무늬목거북 ( Mauremys sinensis )
일반정보
| 생물학적 특성 |
• 중국줄무늬목거북은 원산지는 대만, 베트남, 중국의 푸첸성, 광둥성, 광시, 하이난, 저장성 등이며 강이나 호수, 저수지, 습지에 서식한다. 남생이과(Geoemydidae)이며 등갑 보통 회녹색이며, 배갑은 갈색, 짙은 고동색을 띈다. 배갑은 각 인판에 검정색 얼룩무늬가 뚜렷하고, 들어올려 하부 배를 보면 원형의 무늬가 몸가장자리에 따라 줄지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목과 다리에도 가는 줄무늬가 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알은 부화하는데 약 2개월이 걸리며, 태어나서 성적으로 성숙하는 데에는 암컷은 6년 수컷은 3년 걸리고, 산란은 6월 전후로 둥지를 만들어 한번에 알 7~17개를 산란한다. 수명은 22.8년으로 사육상태에서의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성체는 약 25㎝ 크기 이고, 어린 개체는 등갑의 세 갈래 용골이 더욱 뚜렷한 편이다. 꼬리가 타 반수생 거북류보다 긴편에 속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동면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피해사례 |
중국에서는 중국줄무늬목거북은 남생이과(Geoemydidae)에 종간, 속간 교잡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토착종 남생이과인 남생이와 교잡으로 유전자 교란의 우려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특정외래생물(IAS) 지정 관리하고 있다. 애완동물로 전 세계 판매되고 있어, 확산의 우려가 있으며, 정확한 국내 도입 시기를 파악할 수 없으나, 외래거북류가 국내에 주로 수입되었던 2000년대 초 중반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2021년)까지는 중국줄무늬목거북의 국내 산란은 확인되지 않았다.
| 남생이와 구별법 |
• 중국줄무늬목거북은 목과 다리에 밝은 색의 얇은 줄무늬가 뚜렷한 것으로 남생이와 구분할 수 있다.
• 식성은 잡식성으로 어린 개체는 육식성이 강하고 성장할수록 초식성을 선호하며, 식물의 씨앗, 식물의 뿌리와 싹, 곤충류 등을 섭식함
| 국내 분포와 확산 |
• 국내 자연수변, 생태공원 수변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서식하고 있다. 월동에 대한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 지자체 및 지방(유역)환경청에서 개별적인 퇴치사업을 벌이고 있음
| 관리지역(범위) |
• 중심관리지역을 분포현황조사 기초결과를 토대로 주요 서식지와 높은 개체군 밀도지역을 지정하고 우선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중국줄무늬목거북의 주요 서식처인 호수, 저수지, 도심의 생태공원이 그 주요 대상이 되며, 남생이(멸종위기 II급, 천연기념물 제453호) 서식지의 경우에는 더욱더 유전자 교란을 일으키기 전에 중점관리할 필요가 있다.
• 이 거북의 포획 역시 다른 거북류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포획한다. 거북 전용포획 장치, 그물, 뜰채 등을 이용하여 포획하거나, 수변부, 인공구조물, 수중에 돌출된 침수목, 바위,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광욕을 하고 있는 거북류 유무를 파악하여 포획할 수 있다. 침수목, 수변부, 제방, 돌무더기, 진흙바닥 등에서 외래거북 포획트랩 외래거북 산란장포획후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 유의사항 및 안전관리 |
• 살모넬라균 등을 가지고 있어 장갑, 가슴장화와 같은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포획해야하며, 하천, 저수지에서 퇴치작업 수행으로 넘어지거나, 물에 빠지는 사고를 주의해야한다.
'생태계교란 생물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교란 생물종 -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s ) (0) | 2023.01.18 |
---|---|
생태계교란 생물종 - 악어거북( Macrochelys temminckii ) (0) | 2023.01.17 |
생태계교란 생물종 - 플로리다붉은배거북( Pseudemys nelsoni ) (0) | 2023.01.15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리버쿠터 (Pseudemys concinna) (0) | 2023.01.14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