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갯끈풀 ( Spartina anglica)

생태계교란 생물 현장관리 가이드  ( 환경부 · 국립생태원 , 2021)

 

 

| 원산지 및 국내 도입 경과 |

원산지는 영국이며, 벼과 다년생초본식물로, 세계 여러나라에서 토양 침식 방지를 목적으로 도입하면서 중국, 일본,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남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지정 100대 악성 침입외래생물 로 지정됨. 미국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주에서 악성잡초로 관리하고 있으며, 발생지역 주 정부에서는 장기적인 제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Spartina 속 모든 종을 특정외래생물로 지정하여 수입 및 재배를 금지, 중국은 해안침식 방지를 위해 의도적 도입, 현재 침입외래생물로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 인위적인 도입은 없었으며 2012년 강화도 동막 해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이후 동막해변 인근 분오항, 선두리 해안, 동검도로 확산, 영종도, 대부도, 서천 장항, 김제 해안에서도 관찰되었다.

 

| 생태계 영향 및 주요 피해사례 |

빠르게 갯벌을 뒤덮어 자생종의 생육을 막아 염습지의 생물 다양성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과도하게 밀집하여 군락을 이룰 경우 물의 순환이나 선박 항해를 방해할 수 있다.

영국갯끈풀이 갯벌에 번성하면 토양 퇴적이 가중되어 수심이 얕아지고, 저서무척추동물 서식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조밀하게 생육하는 영국갯끈풀은 물의 순환을 방해하며, 선박 항해의 장애물로 작용하기도 한다.

 

| 외부 형태 |

영국갯끈풀 줄기는 둥글고 직경이 5mm 또는 그 이상이 된다. 속이 비어있으며 0.3~1.3m 정도의 키로 생장한다. 잎의 줄기를 감싼 부분은 겹쳐져 있고 마디 사이 길이보다 길게 발달한다.

줄기에서 잎이 꺾여 나오는 부분에는 2~3mm의 털이 나 있있다. 잎 을 녹색-회색이며 길이는 10~45cm, 잎 너비는 0.7~1.5cm 이다. 잎은 선형으로 편평하거나 안쪽으로 말려있고 끝이 뾰족하고 단단한 편이다.

꽃은 눈에 잘 띄지 않는 무색이며, 서로 밀접하게 겹치는 작은 총(꽃대)이 긴 중심축에 붙어 있고, 뻣뻣하고 똑바로 서거나 약간 옆으로 퍼진 형태로 발달한다.

작은 이삭은 12~21mm 크기로 털이 나 있고, 서로 겹치면서 밀집되어 있다. 작은 이삭을 싼 포영은 작은 이삭 길이의 2/3~4/5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게 발달되어 있다.

영국갯끈풀은 한 덩어리의 기다란 형태의 꽃대를 갖는다.같은 Spartina 속 식물과 형태적인 차이가 있지만, 종간 교잡과 형태 변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종 동정에 유의하여야 한다.

 

 

| 생태 특성 |

다양한 토양상태(점토~자갈)에서 잘 자라며, 주로 갯벌 등 해안가 염습지에 분포하며 초기 둥근덩어리의 모양으로 점점커져 큰 군락을 이룬다. 식물체가 9시간 이상 침수되어도 생존한다. 환경에 따라 식물 키는 매우 가변적이며, 잡종의 발생이 낮은 종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식물군락이 없는 노출된 점토질에 침입할 경우, 13,000개체/정도의 높은 밀도로 우점하지만, 초지가 형성된 이후 작은 개체는 죽는다.

영국갯끈풀이 큰 군락을 이룬 곳에서는 맹아와 땅속줄기를 이용하여 규모를 유지하는 편이며 파랑이 심한 곳에서는 어린 개체가 뿌리째 뽑혀 분포가 제한된다.

 

 

| 관리지역(범위) |

발생지역 인근 수심이 깊지 않은 갯벌과 기수지역까지 관리범위에 포함시켜야 하며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3km 이내 해안을 중심으로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중점관리 필요하다

 

| 관리방법 및 시기 |

꽃피는 시기(7) 이전에 뿌리채 뽑아 제거하는 것이 종자 생산 및 확산 방지에 효과적이다. 제거작업 진행 시, 뿌리줄기 조각과 종자가 유출되는 것을 주의해야하며

토양에 남은 종자와 뿌리줄기에서 재 확산하므로 관리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종자가 산포하기 시작한 이후라면 제거 작업 후 장비나 옷에 묻은 종자를 철저히 제거 후 이동하여야 한다.

제거 작업 시 갯벌에서 조사나 제거작업 시 조석, 날씨, 파도 등의 기상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며, 작업시 갑자기 빠져드는 곳 갯벌에 주의하며 최소 21조를 이루어 작업하여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