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등골나물 ( Eupatorium rugosum )

출처 : 생태계교란 생물 현장관리 가이드 (환경부·국립생태원, 2021)

 

| 원산지 및 국내 도입 경과 |

북아메리카 캐나다, 미국 등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초본식물로 미국등골나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미국 서부를 제외한 전 지역, 캐나다 동부, 일본, 유럽에 확산되어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도권 도심 공원 산림 가장자리나 하부에도 침입하여 하층 식생을 교란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종합대책이 필요한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유입경로는 불명확하나 1978년 서울 남산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주변으로 퍼졌다. 1986년 서울시에서 관상용으로 가로변에 많이 심어 급속하게 퍼진 바 있다. 그 이후 수도권 일대와 강원도, 충청도 일부 지역으로까지 퍼졌다.

다년생 초본이기 때문에 에 한 번 정착한 곳에서 뿌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분포면적을 확장해 나가고, 종자는 바람을 타고 확산이 잘되고, 종자수도 많고 발아력이 높아 원거리까지 빠른 속도로 퍼졌다.

반음지를 선호하여 남산과 남한산성에서 돌담이나 성벽 아래 그늘이나 숲의 큰 나무 아래 군락을 이루며 숲 안쪽으로 까지 무리지어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는 2002년 서양등골나물을 생태계교란생물종으로 지정하였다.

 

 

| 생태계 영향 및 주요 피해사례 |

숲 언저리나 숲 하부식생으로 침입 보전 가치가 높은 생태계에 침입하면 확산하여 우리나라 자생종의 종다양성 저하우려가 있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성은 없지만, 서양등골나물 잎을 섭식한 가축의 우유를 가공하지 않으면 독성 함유 가능성이 증가할 수도 있다.

 

 

| 생물학적 특성 |

서양등골나물 줄기는 전체에 털이 없으나, 상부에일부 털이 발생하기도 하며, 키는 0.3~1.3m까지 성장한다. 잎은 줄기에 마주나고 계란형으로 길이 2~10cm, 1.5~6cm 정도이고, 잎자루의 길이는 2~6cm 정도이며 잎 가장자리는 거친 톱니 모양이 있다. 꽃은 8~10월에 하얀 작은 꽃이 15~25개씩 모여 달려 하나의 꽃처럼 피고, 각각의 꽃송이는 우산과 같은

형태로 발달한다. 열매는 검은색이며 광택이 나고 11월에 익는다. 뿌리는 퍼지는 뿌리 줄기와 얇은 섬유질 뿌리로 구성되어 있다.

서양등골나물은 외형적으로 등골나물과 유사한데, 서양등골나물의 잎은등골나물이 타원형인것과 달리 난형으로 자라는 것이 다르다. 서양등골나물의 꽃은 8~10월에 피며, 꽃의 수가 10개 내외인 데 반해, 등골나물의 꽃은 7~10월에 피며, 꽃의 끝에 붙어 머리 모양을 이루는 꽃의 수가 5~6개 발생한다. 꽃 색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서양등골나물의 백색이지만 등골나물의 꽃은 약간 붉은 빛이 돈다.

 

|생태학적 특성 |

전년도 뿌리에서 새로운 개체가 나오거나 종자에서 아한다. 전광이 비치는 건조한 토양에서~ 그늘까지에서도 잘 자라 숲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그늘진 숲 안쪽으로도 서식한다. 또한 경작지 주변에서도 자라기도하며 토양 산도에 민감하지 않다.

낙엽이 많이 쌓이지 않은 장소에 잘 정착한다. 식물의 발아,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만들어내어 참취, 도깨비바늘 등 다른 식물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 관리방법 |

다년생 초본인 서양등골나물의 매토종자(발아력을 유지한 채 종자 휴면 상태에 있는 종자)를 고려하여 반복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경사지 또는 군락 형성지역은 토사유출에 유의하며 제거하고, 유묘 식별 가능 시기인 4월부터 제거하는 것이 좋다. 5~6월에는 뿌리가 깊지 않아 손으로 쉽게 제거 가능하다. 8~10월 개화기 이전 지상부 제거한다.

도시의 산지나 공원, 숲이 서양등골나물의 전형적인 서식 지역으로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100m 이내 지역을 집중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한번 발생된 장소에서는 재발생이 쉽게 나타나므로 주기적인 관찰하며, 5년간 지속적으로 관찰과 제거를 병행하여야 제거효과가 크다.

관리 작업 후에 옷이나 신발, 장비 등에 남아 있는 씨앗이나 뿌리조각을 확실히 제거해야 한다.

서양등골나물을 먹은 소의 유제품을 가공하지 않고 먹을 경우 구토와 변비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젖소 분포지역의 경우 서양등골나물의 제거를 확실히 해주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