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냉이 ( Alliaria petiolata )

| 원산지 및 분포 |
▶ 원산지는 중국, 중앙아시아, 서유럽, 북아프리카걸쳐 넓은범위가 원산지이다.
▶ 1868년경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정착민들이 음식과 약용으로 도입했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캐나다에서 1800년도 후반에 유입된 후 토론토와 온타리오주 전역으로 퍼지며 생태적 피해가 커 유해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1860년대 식용으로 들여온 이후 관리가 어려운 숲 하층을 우점하며 가장 침입성이 높은 외래종 중 하나로 여겨져 악성잡초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아르헨티나에도 침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우리나라는 강원도 삼척에서 처음 개체군이 확보되었고, 이후 경기도 수원시의 아까시나무, 소나무, 잣나무 하층부에 군락을 형성숲 가장자리에서 발견되었다. 인천 중구에 소규모 개체가 분포한다.
| 생태계 영향 및 주요 피해사례 |
▶ 산림 내 확산성이 높고 대규모 군락형성력이 높아 숲 하층에 단일군락으로 쉽게 우점한 사례가 있다. 미국에서는 Claytonia virginica, Asarum canadense, Sanguinaria canadensis, Trillium 종 및 Cardamine 과 그지역의 자생종 야생화가 차지하는 광대한 지역을 대체한 바 있다.
▶ 또한 그 지역의 나비 유충에게 독성을 나타내, 곤충에게도 악영향을 끼친 사례가 보고된바 있다.
▶ 뿌리에서 식물의 발아, 뿌리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해 균근균에 영향을 미쳐 자생나무 유묘 성장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종다양성을 감소시키고 토착종을 고사시켜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침입 후 2차 화합물을 분비해 균류상을 변화시키고 낙엽 분해를 약화시킨다.
| 생물 및 생태학적 특성 |
▶ 마늘냉이는 1~2년생이며 높이는 0.2~1m 정도로 자라며 줄기에 드물게 털이 있고 마늘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종자로만 번식, 종자의 발아능력은 최대 30년까지 유지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 잎은 첫해에는 둥근 모양의 약간 주름진 잎 모양의 덩어리를 형성하고 잎모양은 삼각형, 심장 모양으로 잎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되어 있다.
▶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4장이며 꽃잎은 흰색이며, 종자로만 번식하며, 열매는 장각과이다. 꽃은 4~6월에 피고, 열매는 5~6월에 는다. 개체당 최대 800개의 종자를 생산하며, 사람이나 동물에 의해 확산된다.
▶ 마늘냉이는 외형적으로 열매의 형태가 냉이속 여러 종과 유사하며 냉이 속 중 물냉이 등과 꽃 모양이 유사한 편이다. 하지만 마늘냉이의 잎 가장자리는 뾰족한 톱니가 있눈 점이 특징적이다.
▶ 봄에 발아해 그해 생장 및 생식을 완료하는 형태와 로제트 형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 생활환을 완료하는 두 가지 형태의 생활사가 관찰된다. 고도의 산성을 띠는 산성 토양에는 내성이 없는 편이다.
| 관리방법 및 시기 |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분포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말려진 죽은 줄기는 몇달 동안 지속되므로 생육지를 파악하고 생육지를 중신으로 종자생산전 유묘단계의 초봄(3~4월) 또는 종자 결실기(5월) 이전에 뿌리째 뽑아 제거작업을 하여야 한다. 생육지 주변 종자 산포 예상 지역과 교란 지역 대상 추가 모니터링 필요하다.
▶ 종자 생산량이 많고 토양에서 지속적으로 발아하기 때문에 최소 3년 이상 지속적인 제거가 필수적이며, 뿌리까지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토양과 식생 교란에 대한 내성이 강하므로 제거 시 교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국내 분포가 제한적이나 미국, 캐나다 등 생태계 피해사례가 확인되어 현재 분포지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자생종과의 상호작용 및 전국 확산 현황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제초제로 글리포세이트를 함유한 제초제가 효과적이지만 토양에 종자가 많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 처리가 필요하다. 생물학적 방제제는 연구 중이다.
'생태계교란 생물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교란 생물종 - 미국쑥부쟁이 ( Aster pilosus ) (0) | 2023.02.07 |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0) | 2023.02.06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돼지풀 (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 (0) | 2023.02.04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도깨비가지 ( Solanum carolinense ) (1) | 2023.02.03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단풍잎돼지풀 ( Ambrosia trifida ) (1)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