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줄풀 ( Spartina alterniflora )
| 원산지 및 국내 도입 경과 |
- 북미 대서양 연안 및 걸프연안, 대서양 연안 뉴펀들랜드, 캐나다 남쪽에서 아르헨티나 북부의 갯벌 염습지에 분포하는 벼과 다년생 식물종이다. 여러 나라(태평양 연안,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서는 갯벌이 침식되는 것을 박기위해 도입되었으며, 이후 토착 해안 식물 군집을 위협하고 있다.
- 국내에 인위적인 도입은 없었으나, 진도 남동리 해안에 2008년 전후에 처음 확인하였고, 현재 갯벌지역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 생태계 영향 및 주요 피해사례 |
- 갯줄풀이 갯벌 서식지에 넓게 밀집하여 확산하여 갯벌을 울창한 초원으로 변모시킨다. 갯벌고유의 특성을 상실하게 한다.
- 토착 습지 식생의 광범위한 침습 및 대체는 연어와 굴의 서식지 손실과 이러한 종에 의존하는 사람들에게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강어귀와 수로에 갯줄풀이 과도하게 확산하여 한 선박 항해에 어려움을 발생시키키도 한다.
조밀하게 생육하는 갯줄풀은 물의 순환을 방해하여 홍수 통제에 어려움을 발생하기도 한다.
- 빠르게 갯벌을 뒤덮어 자생종의 생육을 저해하고, 염습지의 생물 다양성 감소에 직접적 인 영향 초래하며 토양퇴적이 가중되고, 수심이 얕아지며 저서무척추동물서식처를 감소시키기도 한다.
| 생물학적 특성 |
줄기는 1~1.5m 정도로 표면이 매끄럽고, 속은 비어 있으며, 잎의 길이는 20~60c지하로 뻗어나가 새로운 지상부 줄기를 생성한다. 폭은 3~25mm이다. 끝은 뾰족하며 아래로 굽어진 형태이다.
꽃은 꽃대에서 갈라진 가지에 작은 총(꽃대)의 한쪽 방향으로 열리며 열매가 발달한다. 작은 이삭 하나당 하나의 작은 꽃이 있으며, 꽃은 노르스름한 녹빛을 띠고, 겨울에는 갈색으로 바뀐다. 잎집 표면에 털이 없으며 잎혀길이는 1~2mm이고, 꽃밥길이는 3~6mm 이다.
갈대나 부들과 같은 우리나라 자생종과는 꽃대의 구조가 달라서 구분이 쉬운편이다. 갯줄풀은 한 덩어리의 기다란 형태의 꽃대를 갖지만, 갈대는 꽃대가 가지를 쳐서 넓게 펼쳐지는 것이 다르다. 같은 Spartina 속 식물과 형태적인 차이가 있지만, 종간 교잡과 형태 변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정에 유의하여야 한다.
| 생태 특성 |
- 해안 갯벌 염습지에 주로 분포하며 해수가 드나드는 곳부터 최대 만조 시 물에 잠기는 곳까지 주로 확인된다. 단일 식물의 뿌리 줄기는 모든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퍼져서 원형 클론을 생성하고 결국 합쳐져 크고 넓은 패치 또는 초원을 형성한다
-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다른 염생식물에 밀려 분포역을 좁게 형성하며 진흙 토양의 염습지를 선호하나 모래, 미사, 자갈 등의 토양에서도 생육 가능 육지에서도 서식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육상식물과의 경쟁에서 밀려 육상 깊은 곳까지 침입은 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인다.
- 또한 12시간 이상 물에 잠기는 상황, pH 4.5~8.5 범위의 물, 염도 5~32psu 범위에서 견딜 수 있으며, 줄기가 부러져도 무생식으로 확산할 수 있다.
| 관리 방법 |
-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3km 이내 해안, 수심이 깊지 않은 갯벌과 기수지역은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중점관리를 하여야 한다. 꽃피는 시기(7월) 이전에 제거하는 것이 효과가 높고, 토양에 남은 종자와 뿌리줄기 조각에서 재발생하는 등 갯줄풀의 제거 갯줄풀의 재발생 개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제거작업 진행 시, 뿌리줄기 조각과 종자 유출 방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기계적인 제거로는 싹(유묘) 뿌리째 뽑기, 영양생장 뿌리째 뽑기, 꽃 뿌리째 뽑기, 종자제거가 있다.
화학적인 제거로는 갯벌 범람전 깨끗한 수관과 충분한 건조시간 후 글리포세이트와 이마자피(imazapyr)를 살포하여야 한다. 2004년과 2005년에 Willapa Bay에 있는 10,000에이커 정도의 갯줄푼 군락이 imazapyr로 제어된 사례가 있다.
| 유의사항 및 안전관리 |
조사 장비나 옷에 묻은 씨를 깨끗이 제거해야 함 추가적인 확산을 방지하고, 현장에서는 갯줄풀에 의해 갯벌의 깊이를 가늠하기 어렵고 깊이가 일정하지 않아 갑자기 빠지는 곳이 많아 주의하여야 한다.
'생태계교란 생물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교란 생물종 - 도깨비가지 ( Solanum carolinense ) (1) | 2023.02.03 |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단풍잎돼지풀 ( Ambrosia trifida ) (1) | 2023.02.02 |
생태계교란 생물종 - 가시상추 ( Lactuca scariola ) (1) | 2023.01.31 |
생태계교란 생물종 - 가시박 ( Sicyos angulatus ) (0) | 2023.01.30 |
생태계교란 생물종 - 빗살무늬미주메뚜기 ( Melanoplus differentialis ) (2) | 2023.01.29 |